
요즘 읽고 있는 책이다.
‘돈 공부’
신진상이라는 분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다.
기자였다. 역시 기자들이 돈을 잘 아는 것 같다. 특히 경제관련 기자분들은 더 더욱 경제에 대해 잘 알고 많은 분들이 재테크로 성공하는 것 같다.
기자들이 왜 이렇게 재테크에 대해 책을 많이 쓰고 재테크로 성공한지를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개인적으로 몇가지 이유를 말 해 보겠다.
1. 책을 많이 잃는다.
요즘은 개레기라고 아무나 기자가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래도 기자라는 것은 글을 다루는 업무이므로 책을 많이 읽는다.(일부 아닌 경우도 많음) 책 속에서 세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어떻게 향해 가는지는 계속 보고 느끼고그것을 글로 쓰는것 같다. 그러다가 자연스럽게 경제에 대해 이해하고 ‘만일 이런 일이 발행한다면 이렇게 되고’ ‘이 쪽으로 돈이 몰릴 것이고’ 등등 경험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2. 돈 많이 번 사람을 자주 볼 수 있다.
우리사업장도 기자들은 VIP고객으로 쳐주더라. 우리 회사 기준에는 VIP는 대표이사 이상, 국회의원, 기관장 이상으로 하던데 그 속에 기자들이 포함이 되어있다.
어디를 가도 이렇게 VIP급 대우를 해주니 만나는 사람이 보통의 사람들과 많이 다를 것이다.만나는 사람들중에 기업가, 자산가들 등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정말 괜찮은 경제지 기사들은 정말 만나는 사람들이 다를 것 같다.

3. 직업이 돈 버는 것을 소개
돈을 많이 벌고 싶으면 돈 모이는 곳에 직업을 가져야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 중에 경제기자가 돈 많이 버는 직업중 하나 인 것 같다. 그리고 투자 기록 관리가 잘 되는 것 같다. 어느 기자들을 보면 ‘여기에 이게 들어서니 앞으로 전망이 좋다’라고 기사를 쓴다. 그러면 나중에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 해보고 경험해보고 결과를 보면 돈에 대해 보는 눈이 틀려질 것이다.
일반직장인들은 회사에서 박혀 죽으라고 일만하는데 기자들은 취재차 부동산도 가고 증권사도 가고 글쓰기 위해 타회사도 가고 할 것 같다.
그러나 이건 일부 기자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다. 수 많은 기자들이 기업을 대신 해서 혹은 복사글을 업로드하는 것이 많다.(나도 내가 회사관련 글을 써서 기자에게 보낸 적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경제책을 쓸 정도라면 다른 사짜(개레기)분들 보다 책 내용이 괜찮은 것 같다.
아직 읽은 것이 별로 안 된다.
초반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자신의 경험보다는 다른 책의 문구가 너무나 많타(산타, 브라운스톤, 김승호 등) 문구가 많은 것이 아니라 다른 책을 통해서 의견을 제시를 많이 해준다.
그래도 내용은 괜찮은 것 같다.
여기서 추천 해 주는 책을 한번 소개를 하려고 한다.
나이별로 추천을 해주던데 나는 40살 이상 책만 소개를 하려고 한다.

1. 꼭 투자자가 되기 위해 읽어야 될 책
- 벤저민 그레이엄[현명한 투자자]
- 윌리엄 오닐[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 랄프웬저[작지만 강한 기업에 투자하라]
- 필립피셔[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2. 나이에 맞게 투자할 때 읽을 책
- 40대 : 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 싱글맘 부동산 경매로 홀로서기, 나는 부동산 경매로 17억 벌었다, 랜덤위크 투자수업, 워런버핏 바이블,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 50대 : 연금밖에 없다던 김부장은 어떻게 노후 걱정이 없어졌을까, 미래에셋은퇴설계총서
3. 돈의 감각을 읽기 위한 책
- 이명로[돈의 감각]
- 사경인[진짜 부자 가짜 부자]
책을 다 읽고
책에서 좋게 보고 있는 종목을 한번 보자.
1.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편의점 활성화
2. 반려동물
3. 유튜브
- 즐거움을 주는 유형 : 단순한 재미뿐만 아니라 행복함
- 문제를 해결해 주는 유형 : 주로 교육 콘텐츠로 사업, 직무 등 여러주제와 관련된 어려움을 해결하는 유형(사청-사업, 박세니, 김리, 비뇨클래스-영상, 존코비-디자인, 김달-연애고민)
- 긍정적인 정서를 만들어주는 유형 : 구독자에게 영감을 불러넣거나 자기계발 동기 부여하는 유형(포크포크감동, 체인지그라운드, 젝스피어스)
-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유형 : 몰라도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알아 두면 좋은 지식을 알려 주는 유형(사물궁이-상식, 씨리얼-사회, 1분과학-과학, 이슈왕-사회, 호기심-역사)
- 미디어유형 : 주요 언론사 채널처럼 미디어 역할을 하는 유형(비디오 머그, 닷페이스)
4.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므로 앞으로 이것은 불편의 법칙이다. 그래서 미국과 중국의 눈치를 볼 수 박에 없다.(개인적 생각- 그래서 미국에 투자를 해라.)
5. 각 나라의 미래
- 미국 : 셰일가스로 인하여 세계정세에 이제 신경을 안 쓴다. 이전에는 모든 전쟁에 관여를 했으나 이제는 할 이유가 사라짐
- 중국 : 미국과의 전쟁은 실패를 할 수 밖에 없음. 석유가 없어서 실패를 할 수 밖에 없음
- 유럽 : 독일과 프랑스 제외 하고 관광이 주 수입임(중국인 여행자로 인하여 돈을 범), 출산율도 적어서 이민자들이 유럽을 지배 할 것 같음
6. 미국 주식 투자
- 책 추천 : 불황의 시대, 미국 주식에 답을 찾다
- 비만 ETF(웨이트 위처스, 뉴트라시스템, 매니패스트, 파인드바디, 노보노르디스크)
- 사이버 보안 ETF(BVP)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후감] 2021 우량 투자서 35선 목록(feat. 가치투자연구소) (0) | 2021.08.25 |
---|---|
[독후감] 투자의 재발견(이고은)(feat. 부동산, 주식, 파생상품에 투자하라) (0) | 2021.08.22 |
[독후감] 100년 후에도 변하지 않는 부자되는 지혜(아기곰)(feat. 어린이에게 좋은 투자교과서) (1) | 2021.08.11 |
[독후감] 내일의 부(조던 김장섭)[feat. 세계 1등 기업에 투자하라] (1) | 2021.08.09 |
[독후감] 부의 시나리오(feat. 금리,채권,양적완화 등등 좋은 내용이다) (0) | 202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