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식 배당일지

[배당일지] ‘21년 한국주식 배당금 3,554,507원(+40,835원)(feat. S&P500, 나스닥100, 부동산고배당 배당금)

자칭개미 2021. 11. 4. 18:26
728x90
반응형

1.
어제 fomc회의록이 나왔다. 간단히 요약하려고 한다.
1) 인플레이션은 높아졌지만 많은 부분이 일시적 예상
2) 11~12월까지 자산매입을 줄이는데 경제전망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정하겠다.
3) 내년 2,3분기 인플레이션이 진정이 될 것 같은데 그때 금리 인상 수단을 쓰겠다.

잘 말했는 것 같다. 그래서 미국 3대지수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달러와 채권은 하락을 하였다. 그러면 아마도 환율은 더 떨어질 것 같다. 안 그래도 달러를 사고 싶었는데 잘 되었다.

그래도 미국 고용에 대한 데이타가 나왔다. 잘 나왔다.

11/4일 테이퍼링을 선언을 했다!!
하니칸 미국시장도 오르고 한국시장도 오른다.!!
중국주식도 오른다. 오를 이유가 없는 것 같은데 신기하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한번 지켜보자.
테이퍼링은 내년 1분기 종료 가능성이 크고
금리인상은 하반기 두번 예상을 보고 있다.

2.
요즘 강방천의 관점이라는 책을 일고 있다. 거기에서 어제 내가 말한 경쟁업체가 사라지면 좋을 수 밖에 없다고 허츠에 대한 이야기를 한 것이 있다. 그거에 맞추어 강방천 대표의 책에서 관련된 내용이 나와서 공유를 하려고 한다.

- 변화를 잘 알아야된다-

첫번째, 새로운 기술의 탄생이다. 스마트폰 때문에 때문에 시장에서 밀려 난 노키아나 디지털카메라 때문에 사라진 코닥 같은 기업들이다. 기술의 변화가 더욱 극심할 앞으로는 정말 잘 지켜봐야 한다.

두번째, 제도의 변화다. 제도가 바뀌거나 새로운 제도가 생기면 일등이 바뀔 수 있다. 1998년도에 펀드시장 활성화를 위해 뮤추얼펀드 설정이 허용된 적이 있다. 미래에셋이 자산운용사들의 선두에 서는 중요한 계기였다.

세번째, 소비자의 기호 및 소비층의 변화다. 늘어나는 소비층을 주목해야 한다. 노인인구와 모바일인구, 1인가구 같은 소비층이다. 소비자의 태도나 취향 변화도 주목해야 한다.

네번째, M&A다. 신일본제철과 포스코가 철강산업의 선두그룹이었을 때 인도의 미탈스틸이 M&A를 통해 일등에 오른 일이 있었다.


아마도 이 네가지를 잘 기억하고 실행하면 큰 돈을 벌 것 같다.


그럼 이번에 받은 한국주식 배당금을 소개하겠다.


​‘21년 11월 한국주식 배당금

요번에는 연금계좌와 ISA계좌에서 투자하고 있는 ETF에서 받은 배당금이다. 종목은 머 S&P500, 나스닥100, 부동산 고배당이다. 금액이 많이 안 들어갔지만 그래도 쏠쏠하다.


‘21년 11월 S&P500 배당금 15,085원

S&P500에서 배당금을 받았다. 정말 작긴하다. 분기배당이고 년에 1%정도 주니칸 배당금이 그렇게 크게 안 느껴진다. 그러나 주가 상승은 어마어마 하므로 기분좋게 지속적으로 매수를 하면 된다. 현재 isa와퇴직연금, 개인연금 올해 한도가 다 차서 내년부터 또 매수를 해야된다. ISA는 삼성전자우만 오르면 팔고 사면 되는데 아직 삼성전자우가 -2%이다. 흑흑


‘21년 11월 나스닥 100 배당금 4,500원

TIGER 미국 나스닥 100에서 배당금이 나왔지만 kindex 미국 나스닥 100에서는 배당금이 또 안 나왔다. 저번에도 안 준 것 같은데… 저번에 안 준 사유가 이번에 합쳐서 준다고 한 것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내가 잘못 알고 있지는 모르겠다. 귀찮아서 찾아보지는 않았다.


‘21년 11월 TIGER 부동산인프라고배당 배당금 21,250원

일년전에 엄청 마이너스였는데 많이 상승하였다. 그리고 배당금도 많이 줘서 좋킨하다. 팔 생각이 없다. 지속적으로 매분기 2만원을 나에게 줘 ㅋㅋ


‘21년 한국주식 배당금 3,554,507원

11월달에 4만원정도 배당금을 받았다. 그럼 올해는 3,554,507원을 받았는 것이다. 아직 신한알파리츠에서 20만원정도 배당금이 남아서 올해는 4백만원 안되는 370만원정도에서 마무리를 할 것 같다. 4월달에 받은 배당주를 조금 팔아서 올해 보다 많이 받을지는 모르겠다. 그래도 천천히 모아가자!!


728x90
반응형